캐나다 생활/캐나다 대학원 지원기

캐나다 석사 지원 후기 (3) - 연구석사 (Thesis-based) 지원 결과

따윤 2022. 10. 9. 06:29

  - 목차 -

캐나다 석사 지원 후기 (1) - 지역과 학교 선택

캐나다 석사 지원 후기 (2) - 성적증명서, 추천서, 자기소개서, 이력서 등 준비

캐나다 석사 지원 후기 (3) - 연구석사 (Thesis-based) 지원 결과

캐나다 석사 지원 후기 (4) - 수업석사 (Course-based) 지원 결과

캐나다 석사 지원 후기 (5) - 합격 및 등록 이후

 

엔지니어링 학위 관련 캐나다 석사를 알아보기 시작한 후 시스템이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 것을 알았다. 연구석사(Thesis-based, MSc)와 수업석사다(Course-based, MEng). 간단하게 차이점을 설명하자면, 우리나라에서의 석사에 해당하는것은 연구석사로, 우리나라 대학원생들과 마찬가지로 지도교수의 연구를 지원하고 본인의 연구를 별도 진행하며 논문디펜스를 통해 학위를 취득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지원을 위한 제 1관문은 지도교수와의 컨택 및 컨펌이다. 연구석사의 가장 큰 장점으로는 학비 (+ 경우에 따라서 생활비까지) 지원이다. 따라서 유학생으로서 가장 큰 부담인 학비에 대한 걱정이 없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상당히 해소된다. 

 

수업 석사의 경우 우리나라 시스템에 정확히 대응되지는 않지만, 우리나라의 야간대학과 같이 수업만 이수하면 학위를 주는 시스템이다. 논문을 쓸 필요도 없고 지도 교수도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학위 이수에 대한 부담이 없지만 대신 학비를 많이 내야 한다. 학비에 대한 내용은 캐나다 석사 지원 후기 1편을 참고하자. 

 

나는 수업석사와 연구석사 둘 중 하나를 꼭 원하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일단 난이도가 더 높은 연구석사를 지원해 보고, 그 이후에 교수 컨택에 실패할 경우 수업 석사를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교수 컨택하는 시점이 수업석사 지원 시점보다 앞서기도 하고, 컨택 가능성도 상당히 낮다고 들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나처럼 연구경력이 전무한 사람은 가능성이 더 떨어질 것은 당연지사였다. 

 

온타리오를 중심으로 하되 꼭 온타리오에만 한정짓지 않고, 캐나다 대학교들 사이트를 돌아다니며 토목과 교수 & 연구생 모집을 하는 교수의 경우 거의 다 지원 메일을 보냈다. 메일에는 Statement of Purpose, 성적표, SV등을 PDF파일 형식으로 첨부하였고, 내용은 대동소이하게 보내되 수신자 이름과 관심연구 분야만 교수에 맞게 변경했다. 메일 본문에는 간단히 SOP을 요약해 넣었다. 


이렇게 온주 내 York, Queens, Carleton, Lakehead, Ryerson, 그 외 Alberta, Manitoba, UBC, Saskatchewan,  총 9개 대학 18명의 교수에게 메일을 보냈다. 결과는? 대부분의 교수들은 메일 답장도 없기가 일쑤였고, 그나마 답장이 온 교수들도 Fit이 잘 안맞는다거나 혹은 자리가 없다는 얘기를 들려줬다.

그중에 딱 한곳, Lakehead 대학교의 한 교수가 관심을 표명했는데, 그나마도 학비 지원은 없는 조건이었다. Lakehead는 온타리오 주에 위치해 있긴 하지만 토론토와 그 인근 도시에서는 먼 곳인 Thunder Bay에 위치한 대학교로, 매니토바에 가깝다. 위치도 안 좋은데 학비도 지원이 안 되는 조건이었으므로 깔끔하게 연구 석사는 포기하기로 했다. 다음으로 도전할 것은 수업 석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