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4

영주권 타임라인

영주권 타임라인을 최종 정리해서 공유합니다. 알버타 주정부 프로세스부터 시작-카드 수령까지 총 11개월 정도 걸렸습니다.  2023년10월 18일 Alberta Tech Pathway form 제출10월 25일 Alberta Tech Pathway NOI받음10월 27일 Alberta Express Entry Stream Application 완료  2024년1월 15일 노미니 승인 1월 16일 EE프로필에 알버타노미니 Accept1월 23일 EE 인비테이션 받음2월 13일 AOR(서류제출 및 결제완료)3월 14일 바이오 요청4월 2일 바이오 완료4월 9일 메디컬 패스 (21년 처음 캐나다 왔을 때 받았던 메디컬로 패쓰함)7월 4일 추가서류 요청 Military Records: Please complet..

영주권 취득기 9: PR 카드 받기

영주권 취득기 1: 나에게 맞는 프로그램 찾기영주권 취득기 2: AEES 신청영주권 취득기 3: Express Entry 인비테이션 받다영주권 취득기 4: Express Entry e-form 입력영주권 취득기 5: EE 서류 준비 및 AOR영주권 취득기 6: Biometrics영주권 취득기 7: 추가서류 작성하기 (ADR)영주권 취득기 8: Portal 메일 답장 및 접속 & eCOPR (영주권은 받았지만) 드디어 대망의 영주권 마무리 단계.. 화려한 피날레가 바로 PR카드 되시겠다. 인도애들 커뮤니티 보면 뭐 영주권 카드도 고업 체크하고 얼마만에 오는지 날짜 새고 뭐 별 난리도 아니던데, e-COPR이 더 중요한거 아니요?ㅎㅎㅎ뭐 카드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으니깐. 그래서 나도 (ㅋㅋ) 영주권 카드 진..

EE서류는 공증이 필요 없다(feat. Certificate Translator)

가끔 네이버 카페나 다른 커뮤니티들을 둘러보다 보면 가끔 보이는 내용이 번역-공증을 세트로 받는 분들이 많다는 사실이었다. 나도 이번 EE서류를 준비하면서 정부 기관에서 영문으로 출력해 주지 않는 서류이 많았다. 이 경우 당연히 번역을 해서 제출을 해야한다는 인식은 있었는데, 공증이란 것은 뭔지 몰라서 좀 찾아보았다.  일단 공증의 뜻은 " 공증이란 특정 사실 또는 법률관계의 존부를 공적 권위로써 증명하는 행정행위(위키피디아)" 라고 하는데, 말하자면 본 서류가 법적/내용적으로 오류가 없다는 것을 공적인 권위를 가진 사람이 증명해 주는 행위라고 보면 되겠다.  그래서 IRCC에서는 공증을 의무로 꼭 해야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다시 들어서, 관련 자료를 좀 찾아보았는데, 아래 EE서류 준비에 대한 웹페이지에..

영주권이 나왔다!

24년 8월 9일, 기다리고 기다리던 영주권이 나왔다. 주정부를 통한 영주권 프로세스를 시작한 지는 10개월, 캐나다에 온 지는 딱 3년만이다. 포탈 2에서 거주선언을 한 다음날 Congratulations! 로 시작하는 이메일을 받았을 때 기분이 날아갈 듯 좋았다. 미국에 비교하면 나름 쉬운 편인 캐나다 영주권이긴 하지만, 그래도 태어난 나라가 아닌 남의 나라에서 영원히 거주할 권리를 받았다는 사실이 뭔가 신기하기도 하고 그간에 캐나다에서의 생활을 인정받는 듯한 기분이 들어 뿌듯하기도 했다.  특히 나는 처음 스터디 퍼밋을 신청할 때 부터 PGWP, 주정부, 연방정부 신청에 이르기까지 한 번도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 모든 서류를 준비했기에 더욱 보람을 느낄 수 있었다. 사연없는 영주권 없다고..

영주권 취득기 8: Portal 메일 답장 및 접속 & eCOPR

영주권 취득기 1: 나에게 맞는 프로그램 찾기영주권 취득기 2: AEES 신청영주권 취득기 3: Express Entry 인비테이션 받다영주권 취득기 4: Express Entry e-form 입력영주권 취득기 5: EE 서류 준비 및 AOR영주권 취득기 6: Biometrics영주권 취득기 7: 추가서류 작성하기 (ADR) 추가서류 요청에 대한 제출을 성실히 제출하고 한 달여가 지났을 때, 드디어 말로만 듣던 포탈 이메일이 날라왔다. 드디어 영주권 지원 절차의 마무리!  다들 포탈포탈 해갖고 대체 포탈이 뭔가 했더니만 정식 명칭은 Permanent Resident Portal이라는 IRCC에서 운영하는 영주권 웹사이트였다. 뭐 거창한 건 아니고 캐나다 내 거주 증명이랑 카드 발급 정도를 온라인으로 할 ..

May long weekend 나들이

포스팅할 시간이 없다보니 지난 5월의 일상을 이제야 포스팅 합니다..흑흑메이롱위캔을 맞아 시에서 이런저런 행사들을 한다는 얘기를 들어서, 일단 플리마켓이 열린다는 도서관에 가보기로 했다.   도서관에 도착하니 이미 사람들이 많이 있었다. 마켓은 1층에서 열리고 있었는데 정말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보통 수공예품이나 비누, 모자, 또는 손수 만든 음식 등이 주를 이뤘다.       플리마켓 구경을 마치고 밖으로 나와서 좀 걸어보기로 했다. 날씨가 너무 좋았다. 도서관 바깥에는 커다란 체스 킹 모형과 체스판이 있다. 지금은 없는데 저기에 모든 체스말들이 있을 때도 있다. 도심쪽으로 다가가니 푸드트럭들이 줄지어 서 있었고, 광장에서는 콘서트를 하고 있었다. Prarie답게 여기는 대부분 컨트리 음악이다.  캘..

영주권 취득기 7: 추가서류 작성하기 (ADR)

영주권 취득기 1: 나에게 맞는 프로그램 찾기영주권 취득기 2: AEES 신청영주권 취득기 3: Express Entry 인비테이션 받다영주권 취득기 4: Express Entry e-form 입력영주권 취득기 5: EE 서류 준비 및 AOR영주권 취득기 6: Biometrics바이오를 무사히 마치고 3개월여 정도 소식이 잠잠하다가, IRCC에서 이메일 한 통이 왔다. 추가서류를 요청한다는 내용.. 보통 추가서류는 긍정적 신호로 본다고 한다. 최소한 담당자가 파일검토를 시작했다는 얘기니깐..  근데 분명 꼼꼼히 준비해서 냈다고 생각했는데 뭘 또 요청하나 궁금했는데.. 밀리터리 레코드에 대한 IMM 서류.. IMM5546 이었다. 이거 분명히 e-form의 personal history 로 작성도 했고 군..

영주권 취득기 6: Biometrics

영주권 취득기 1: 나에게 맞는 프로그램 찾기영주권 취득기 2: AEES 신청영주권 취득기 3: Express Entry 인비테이션 받다영주권 취득기 4: Express Entry e-form 입력영주권 취득기 5: EE 서류 준비 및 AOR  AOR을 받고 3월경 잠시 한국 방문을 하고 있던 때였다. 진행상황 확인 차 IRCC에 들어가 봤더니 업데이트가 하나 떠 있었다. 바로 바이오를 받으라는 레터..  바이오가 별거 아닌게 그냥 지문찍고 사진 찍는 거다. 근데 이미 Study Permit 받을 때 한국에서 다 했던건데.. 3년도 채 안 지난 것을 왜 또 하라고 하는지 모르겠다. 한국은 민증 만들 때 한번 찍고 평생 가는데 말이다. 뭐 어쨌든 까라면 까야지. 당장 한국에서는 받을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

영주권 취득기 5: EE 서류 준비 및 AOR

영주권 취득기 1: 나에게 맞는 프로그램 찾기영주권 취득기 2: AEES 신청영주권 취득기 3: Express Entry 인비테이션 받다영주권 취득기 4: Express Entry e-form 입력24년 1월, 주정부 노미니를 받게 되어 드디어 기다리던 EE인비를 받게 되었다. 서류준비는 진작부터 해 놓고 있었는데 최종적으로 2월에 업로드 및 신청 완료한 서류들은 아래와 같다.  1. 교육 관련 캐나다 내 교육기관을 나온 경우 Degree만 필요하다고 나와있다. 그런데 IRCC EE서류 체크리스트 홈페이지에는 transcript도 제출하라고 나와 있다.  나는 캘거리 대학교 대학원을 나왔기 때문에 졸업 Degree 및 성적표만 첨부했다.  배우자는 한국 학사 자격증이 있었는데 미리 WES를 통해 Immi..

영주권 취득기 4: Express Entry e-form 입력

영주권 취득기 1: 나에게 맞는 프로그램 찾기영주권 취득기 2: AEES 신청영주권 취득기 3: Express Entry 인비테이션 받다 이제 주어진 2달의 기간 동안 성실하게 프로필을 입력해야 한다. 사실 이 과정은 최초 EE프로필 만들때 했던 과정과 일부 겹치는 부분이 있다.  프로필 만들 당시의 e-form을 작성할 때는 프로필 생성 및 CRS Score 에 영향을 주는 최소한의 항목들만 작성할 수 있었다. 이제는 서류 제출을 위한 e-form을 작성해야 하는데, 생성할 때 만들었던 e-form에서 personal history같은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요구하는 칸이 늘어난다.  과거 paper based로 진행할 때의 각종 form들..(IMM으로 시작하는) 을 그대로 웹베이스에서 입력가능하게 해..